자동차 전력 분배 솔루션(STi2Fuse) Webinar

2025-07-10 10:30~12:00

STMicroelectronics / 최영민 차장

  • 최*은2025-07-10 오전 10:54:33

    STi2Fuse를 적용한 후, 오류 진단 시간이나 차량 다운타임이 얼마나 줄어들었는지에 대한 실증 데이터가 있는지요?
  • ST22025.07.10

    실제 비교 자료는 없지만, 세미나에서 설명드린대로 하나의 mcu로 각각의 부하전류를 모니터링 할경우 MCU 테스크주기에 따라 지연이 발생되지만, 전자식 퓨즈 제품의 경우 MCU 개입없이 개별 차단이 가능하기 때문에 기존 방식보다는 더 빠르게 차단 가능합니다.
  • 박*차2025-07-10 오전 10:53:39

    장기적인 유지보수 관점에서 STi2Fuse는 어떤 진단 및 예방정비 기능을 제공하는지요?
  • ST22025.07.10

    일반 퓨즈의 경우 과전류 발생시 운전자가 직접 교체를 해야 하지만 전자식 퓨즈인 경우 영구적이기 때문에 교체할 필요가 없습니다. 고장 해제시 자동 복구됩니다.
  • 김*숙2025-07-10 오전 10:52:02

    기존 아날로그 퓨즈 시스템을 사용하는 차량에 STi2Fuse를 적용하려면 하드웨어 외에 소프트웨어 측면에서도 추가 개발이 필요한지요?
  • ST22025.07.10

    제품마다 제어를 위한 레지스터 맵이 다르기 때문에 SW도 새롭게 개발이 필요합니다.
  • 오*철2025-07-10 오전 10:49:06

    안녕하세요
  • e4ds2025.07.10

    안녕하세요. ^^
  • 최*빈2025-07-10 오전 10:49:03

    데이터는 어떤 방식으로 사용자에게 제공되며, 외부 ECU나 클라우드 시스템과 연동도 가능한지요?
  • ST22025.07.10

    디바이스의 상태진단(전압/전류/고장검출)은 SPI 통신을 통해 모니터링 가능하므로 MCU에서 모니터링하고 외부 ECU나 클라우드 시스템에 연동하는 구성으로 검토 가능합니다.
  • 최*태2025-07-10 오전 10:48:52

    모듈화된 설계를 지원한다면 다양한 전압/전류 요구가 있는 복합 전기차 시스템에서도 손쉽게 확장 적용이 가능한지요?
  • ST22025.07.10

    10A 미만 타겟의 제품군은 P2P 호환되고, 40A 미만 타겟의 제품군 또한 P2P 호환이 되기 때문에 개발 중 부하가 급작스럽게 변경 될 시 유연한 대응이 가능합니다.
  • 최*빈2025-07-10 오전 10:47:51

    다양한 전기차 플랫폼에 적용된 사례가 있다면, 어떤 유형의 차량에 가장 적합한지 궁금합니다.
  • ST22025.07.10

    현재 차량의 시스템 변화가 SDV로 나아가고 있기 때문에 전원 부에 대한 전류, 전압 등의 모니터링이 중요하게 대두되고 있습니다. Vehicle computer에서 모든 부분을 관장하는 Zonal 아키텍쳐에 중요한 역할을 할 것으로 판단됩니다.
  • 이*혁2025-07-10 오전 10:47:42

    ST사의 DC 퓨즈 장점이나 차별화 포인트에 대해 문의 드립니다.
  • ST22025.07.10

    일반 퓨즈의 차단 알고리즘을 그대로 반도체로 구현하였기 때문에 일반 퓨즈 대비 허용 오차가 작아서 동일 부하 기준으로 더 작은 와이어 선경으로 커버 가능합니다. 한마디로 와이어 하네스 세경화가 가능하여 와이어링에 대한 자동차 무게를 줄이고 연비 향상이 가능합니다.
  • 김*숙2025-07-10 오전 10:47:34

    I2T 차단 커브 설정 시, 차량별 혹은 부하별로 얼마나 유연하게 커스터마이징이 가능한지 알고 싶습니다.
  • ST22025.07.10

    부하에 따른 STi2Fuse를 선정하신 후, Nominal 전류와 차단 Time을 레지스터를 통해서 선정하시면 최소 64개의 Step을 구현하시 수 있습니다.
  • 양*영2025-07-10 오전 10:47:28

    안녕하세요 좋은정보 기대합니다
  • e4ds2025.07.10

    유익한 세미나 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