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동차 전력 분배 솔루션(STi2Fuse) Webinar

2025-07-10 10:30~12:00

STMicroelectronics / 최영민 차장

  • 박*진2025-07-10 오전 11:03:37

    HSD 와 Controller의 차이점은 무엇인가요?
  • ST22025.07.10

    HSD는 제품 내부에 MOSFET가 내장된 제품이고 controller는 MOSFET가 외부에 별도로 부착하는 제품입니다. 일반적으로 컨트롤러 타입이 대전류 타입, HSD는 소/중전류 타입이라 보시면됩니다.
  • 최*빈2025-07-10 오전 11:03:22

    고온 환경이나 급격한 부하 변화가 반복되는 조건에서 STi2Fuse의 열 보호 및 자동 복구 기능은 어느 정도까지 반복 동작이 가능한가요? 특히 EV 고전력 부하와의 내구성 검증 사례가 있는지 궁금합니다.
  • ST22025.07.10

    어플리케이션 환경 조건에 따라 적합한 소자를 선정해야 합니다. 말씀하신 고온 환경에서도 타겟 전류를 공급할 수 있는 소자를 선택하신 후 유저 측 환경에서 충분한 검증이 필요합니다. 반도체 단품에서는 AEC Q100 기준의 평가를 진행합니다.
  • 임*혁2025-07-10 오전 11:03:06

    [질문] 전력 분배 측면에서 STi2Fuse 제품만이 가지는 경쟁사 대비 가장 차별화된 기술은 무엇인가요?
  • ST22025.07.10

    전자식 퓨즈는 제품내에 i2t차단 커브를 사용자가 직접 설정할수 있는 제품을 말하는데 타사 대비 더 세밀하게 설정이 가능하여 와이어 최적화에 효과적입니다.
  • 박*근2025-07-10 오전 11:02:13

    전류 샌플링 주기가 어떻게 되나요?
  • ST22025.07.10

    Monolithic type의 경우 10K/s 로 보실 수 있습니다.
  • 천*희2025-07-10 오전 11:00:07

    VNF1048FTR 이외에 적용된 사례가 있는 칩셋을 소개해 주실 수 있나요?
  • ST22025.07.10

    STi2Fuse 제품군의 Monolithic type 제품의 경우, 다양한 회사에서 검토 진행 중에 있으며 Hybrid type 또한 곧 양산이 시작되기 때문에 이 또한 활발히 검토 중에 있습니다.
  • 최*태2025-07-10 오전 11:00:02

    STi2Fuse가 차량 운전자에게 직접적으로 어떤 경험 개선을 줄 수 있을까요? 대시보드 경고등 반응, 차량 앱 연동 같은 부분도 고려된 부분인지 궁금합니다.
  • ST22025.07.10

    전자식 퓨즈 제품은 기존 퓨즈와 달리 자동 복구가 된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과거처럼 퓨즈가 나가서 운전자가 퓨즈를 갈아야 되는 경우는 없어 지게 됩니다. 주요 기능들은 운전자를 위한 것이 아니라 정비 업체에서 진단장비를 통해 세부 고장진단 모니터링이 가능한 장점이 있습니다.
  • 최*태2025-07-10 오전 10:58:25

    STi2Fuse는 향후 소프트웨어 SDV아키텍처와도 연동될 수 있도록 설계되어 있는지요?
  • ST22025.07.10

    네, 전자식 퓨즈의 최종 목표는 SDV를 지원하기 위한 말단 디바이스라 보시면 됩니다.
  • 천*희2025-07-10 오전 10:57:24

    국내에 VNF1048FTR 적용된 사례가 있나요?
  • ST22025.07.10

    국내에는 검토 중에 있습니다.
  • 임*혁2025-07-10 오전 10:57:04

    정말 유익한 웨비나 인것 같습니다.
  • e4ds2025.07.10

    감사합니다
  • 천*희2025-07-10 오전 10:54:53

    eFuse(VNF1048FTR) 와 다른 솔루션인가요?
  • ST22025.07.10

    같은 솔루션입니다. VNF1048은 대전류 타입 제품군이며, 오늘 소개해드린 제품 모두 퓨즈 차단 기능을 제공합니다.